● 이것저것 여러가지/__일상과 휴식

* 주식 시장 - (진) 바닥은 어디쯤인가?

부팀장2022 2022. 7. 2. 19:23
728x90
반응형

 


외국인이 주식 시장에서
주식을 거침없이 계속 팔고 있다.

외국인이 계속 매도하는 이유로...
상반기 무역적자 -100억 달러로
적자 최대 갱신을 들고 있는데

외국인의 파는 주식 대부분을
개인이 매수하고 있는 상황


하지만,
개인의 신용잔고가 25조 원에서
17조 원으로 하락하고 있어서

 

개인이 어디까지
계속 매수할 수 있을지...
(개인의 반대매매도 증가하는 것 같은데...)

진짜 바닥이 어디까지인지...
시장에 공포가 더욱더 확산되고 있는 것 같다.




중국 시장만이
세계 시장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

상하이 봉쇄 시에 최저점을 찍은 후
반등하고 있어서

우리도 코로나 터지지 직전
주식 시장의 최고점이
2100~2200 사이였기에


거기까지 간 다음
반등하는 것이 아닌가?...
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는 상황인 것 같다.


아파트도 전국적으로
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.
(다만, 강남구, 서초구 일부 아파트는 신고가 경신)

매물은 계속 쌓이고,
매수세는 실종되고 있음.

부동산의 바닥은
주식 시장과는 다르게

6개월에서~18개월까지
시차가 있기에
2023년 말이 바닥일 것으로 전망


주식 시장이 선반영 된 것이라면
최고점 대비 -30% 정도
부동산이 하락할 것이고,

지금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
코스피 시장 2300대가

진짜 바닥이 아니라면
더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해 본다.


김포신도시 -15%
고양시 지축 지역 -20%
성남 위례신도시 -17%
수원시 -16%
동탄신도시 -20%

부동산은 하락하고 있다

   (유튜버 = 쇼킹부동산 내용 / 곡소리는 이런것, 심각한 경기도)

20% 하락한 단지들 사도 되나?


그건 아무도 모른다.
2023년부터 2024년 초까지

본인 임대 만기 시점에
매수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라고 조언한다.
(기왕이면 겨울에 매수 고려 추천. 1월~3월 사이)


아직 바닥은 오지 않았다고 보고
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.

싸다고...
작년에 비해 너무 싸졌다고...
달려 들어서는 안될 것이다.

내가 버틸 수 있는 선에서
신용을 사용하지 않고
자신의 종잣돈으로 매수하고,


그리고 최대한 2~3년을
버티고 이겨낸 자만이

오늘 이 고통에 견딘 과실을
가져갈 수 있으리라

고환율
고금리
고물가

3고 시대에...
슬기롭게 잘 살아남아야겠다


정말 (진) 바닥은 어디인가?

728x90
반응형